사업분야

실내환경 컨설팅

현대인은 하루 80~90% 이상을 실내공간에서 생활합니다. 하지만 건물을 지을 때 사용하는 벽지나 바닥재, 페인트, 접착제 등에서 오염물질이 방출되어 두통과 현기증, 집중력 저하를 불러올 뿐만 아니라 눈과 호흡기에 자극을 주어 환경성질환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세계보건기구
(WHO)

"실내공기오염 사망자 수"430만명

공기오염 사망자 수"880만명

세계보건기구(WHO)에 따르면 실내오염물질이 실외오염물질보다 폐에 전달될 확률은 약 1,000배 높으며, 오염된 실내공기로 건강에 중대한 영향을 받는 건물의 비율이 40%를 차지하고 실내 공기 오염도를 줄이면 호흡기 질환 환자발생의 20%가 감소할 것으로 추정

실내공기질 관리 및 개선의 필요성

  • 실내공간은 사람들이 하루 생활 중 80~90%이상의 많은 시간을 보내는 곳
  • 장시간 실내활동으로 다양한 공기오염 물질에 노출
  • 밀폐된 건축물의 경우 실내 공기의 오염도가 쉽게 증가

실내공기 오염의 발생 원인

  • 건물의 밀폐화, 외부 공기의 유입량 감소, 내장재 및 가구의 사용증가
  • 세제, 청소 용품 등 다양한 화학물질 제품의 사용
  • 환기 부족으로 인한 오염된 공기의 반복적인 내부순환

실내공기 오염 시 발생되는 증상

  • 새집증후군(SHS), 빌딩증후군(SBS), 복합화학물질과민증(MCS)
  • 가정주택의 경우 비염, 천식 및 아토피 유발
  • 사무공간의 경우 두통, 피로, 집중력 감퇴 등으로 인한 업무효율 저하

새집증후군(SHS)

빌딩증후군(SBS)

천식, 아토피

복합화학물질과민증(MCS)

실내환경의 관리와 개선을 위한 컨설팅 서비스

고객의 실내환경을 측정 및 분석하여 얻은 정보를 바탕으로 문제점 진단 및 개선방안을 도출하여 보다 쾌적한 실내환경을 성하도록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실내환경 주요 오염물질

가스상 오염물질
일산화탄소, 이산화탄소
폼알데하이드, 이산화질소
오존, 라돈, 휘발성유기화합물
입자상 오염물질
미세먼지(PM10)
초미세먼지(PM2.5), 석면
세균 오염물질
부유세균, 부유곰팡이
진드기

실내환경 오염물질 저감을 위한 컨설팅

실내환경 컨설팅 서비스의 특징

  • 정확하고 정밀한 오염물질의 오염도 확인
  • 오염의 원인 및 문제점 분석
  • 친환경적 실내환경 개선 컨설팅
  • 실내환경 관리 방법 제시